MY MENU

Essay

제목

동화고삼각학교

작성자
김석환
작성일
2015.04.22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1332
내용

건축의 도형적 질서를 통한 교정구조의 개선과 공간의 활력

 

 

남양주시 동화고등학교에 3학년 교사(校舍)로 세워진 삼각학교는 건물 형태에 의해 붙여진 별명 같은 것이다. 이 건물의 평면 형태인 삼각형은 그만큼 이 건축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그 도형적 특별함이 건축적 특별함으로 다가온다. 그런데 여기서 드러난 삼각형은 도형을 먼저 채택한 것이 아닌 대지 해석에 따라 도출된 결과물이다. 즉 이 건물을 지을 부지의 특성과 주변 상황을 고려하는 가운데 자연 지형과 교정의 중심이 되는 운동장, 그리고 독립적 위상을 갖는 중학교의 교사동 간의 적절한 관계성을 모색한 결과물로서 그 세 가지 대응 요소를 선적으로 정리하면서 파생된 도형이 삼각형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삼각학교는 북서 측에 위치한 너른 운동장에 면한 가운데 남서 측에는 중학교가 놓여 있고 남동 측으로는 산자락이 비스듬히 지나고 있는데 이 건물이 들어서기 전에는 부정형의 자투리 형태로 남아 전체적인 짜임새가 갖춰지지 않아서 교정(校庭)의 인상이 다소 어수선한 느낌을 풍기고 있었다.

 

이 학교는 19733월에 개교된 이후 몇 차례 증축 과정을 통해 현재의 규모가 형성되었는데 교내에 지어진 건물들은 지어진 시기에 따라 몇 개의 시대상을 띠고 있어 부조화스런 인상이 느껴지며 건물의 전체 배치에 종합적인 시각이 부여되지 않은 채 여러 번 증축의 변화를 거치면서 무질서한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 건물의 평면은 주변 상황의 대응과 자연 환경요소의 반영으로 정리되었다. 즉 자투리 공간을 형성하고 있던 산자락의 지형 끝과 운동장, 중학교 건물 요소에 대응하는 각 변의 상황에 따른 공간 및 외피 구성을 하면서 현재의 모습이 갖춰지게 되었는데 운동장 측에는 운동장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완화시키기 위해 수직루버를 두었고 중학교 측과는 소음과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생활 영역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소 폐쇄적인 벽면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자연 지형에 면한 북측은 일반적인 교실 형태의 창문이 설치되어 세 변의 외관이 각각 다른 모습을 띠게 되었다.

 

그런데 그처럼 대지 해석과 대응 과정에서 생성된 삼각형의 기하학적 형태는 강력한 조형적 에너지를 띠게 되었다. 3점을 3선으로 연결한 형태의 삼각형은 가장 기본적인 기초 도형으로서 어느 도형보다도 기하학적 조형성이 강하게 표출된다. 그 삼각형의 기하학적 도형요소는 고대 건축에서부터 나타나며 대표적으로 피라미드를 꼽을 수 있는데 그것은 삼각추 형태로서 가장 극명한 도형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여기서의 삼각형은 평면적 형태여서 실제 주변에서 바라보는 시선에서는 형태감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 그 조형성은 발표된 사진처럼 지반레벨에서보다 조감의 시각에서 볼 때 조형성이 증폭되어 느껴지며 인상이 강하게 표출되어지는데 그런 점에서 이 건물의 기하학적 도형의 의미가 매우 크게 차지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조형적 모티브는 중학교 쪽으로 낸 커다란 삼각형 창의 형태에 의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또한 삼각형 평면은 조형 언어로서의 존재성뿐만 아니라 여기저기 다양한 공간 요소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건축적 어휘 또한 풍부해지게 되었다. 이 건물은 내부에 중정을 갖추고 있는데 삼각형의 평면과 복도 그리고 내무 중정이 다층적 레이어를 이루고 있고 폭의 차이를 둔 복도의 가변성과 모서리 부분의 역동성이 겹쳐 다양한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여기서 삼각형은 다 채워진 것이 아니라 일정한 폭을 가진 교실과 복도의 모듈을 가진 켜가 꺾여서 이루어진 구조로서 복도의 창은 중정으로 면한 외측창 역할을 하며 그 창 너머가 건물 내부 공간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건축가는 이 건물에서 규율적으로 운영되는 수업시간 외에 학생들이 즐겁게 여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공용공간의 가치에 주목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공간적 요소들을 매력적으로 느껴지게 함으로서 학교생활의 활력을 상승시키고자 했다. 이 건물에서 그처럼 쓸 수 있게 고려한 공간은 복도와 중정인데 내부 뜰로 쓰이고 있는 중정은 교실과 다른 개방감을 주고 상하층이 부분적으로 오픈된 복도는 폭과 천정 높이에 가변성을 띠어 다양한 행위와 흥미를 유발하며 학생들이 여가 생활을 즐기는 공간이 되었다.

 

이 프로젝트에서 건축가의 제안은 학교 전체의 공간 구조를 개선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즉 교정의 배치구조가 개선되어 구조적 안정감과 학교 전체 이미지 상승효과를 얻게 되었으며 학교생활의 활력도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 작품은 형태적 도식성에 치중되어 공간의 촉감에 따스함은 덜한 편이다. 즉 중정 내부를 둘러싸는 높은 유리벽은 내측의 투명감을 지니기에는 적당하지만 중정에서 트인 하늘을 바라볼 때는 매끈한 유리의 기계적 속성이 차갑게 나타나기도 하며 모노크롬 톤을 띠는 복도 측의 치장 노출콘크리트 마감에서도 다소 건조한 느낌이 풍겨진다.

(김석환)20150422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